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K-농기계, 글로벌 후발 주자에서 점유율 빠르게 상승 중

경제

by 편집팀 2022. 5. 26. 01:50

본문

반응형

혁신 성장 유망 섹터 ‘농기계’

미래 식량을 책임지는 농기계 시장이 변화하고 있다. (1)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 문제, (2) 전쟁 이슈에 따른 공급망 교란 등 식량 안보에 대한 위기 의식이 고조되고 있다. 대내외 환경 변화에 따라 농업 생산성과 작업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하는 요구가 확대되고 있다. 국내외 주요 농기계 업체들은 원격 모니터링, 자율주행 등 기술을 접목해 농업 자동화를 이뤄내고 있다.

 

한국 트랙터 수출 지역별 현황
한국 트랙터 수출 지역별 현황

 

해외 수출 성장성 부각, ‘로보틱스’로 패러다임 변화 시작

국내 농기계의 내수시장은 스마트 농기계, 친환경 농기계를 중심으로 신수요 창출이 기대된다. 해외 시장에서는 미국을 필두로 캐나다, 호주 등 주요국 수출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면서 성장성이 부각되고 있다. 최근 신기술 도입과 더불어 국내 업체의 경쟁력이 눈부시다. 국내 수혜 업체들이 (1) EPS 상승과 (2)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구간에 진입했다고 판단한다.

 

한국 연간 트랙터 수출입 추이
한국 연간 트랙터 수출입 추이

 

K-농기계, 글로벌 후발 주자에서 니치마켓 기반 빠른 점유율 상승 중

국내 업체들은 자율주행 트랙터 상용화를 이루며 북미 지역 내 점유율 확대를 통한 외형 성장이 예상된다. 국내의 경우 2019년부터 자율주행 1~2단계(직진, 자동 조향제어 가능)를 적용하고 있다. 글로벌 경쟁 제품 대비 우수한 가격경쟁력과 기술격차 축소로 미국 내 ‘하비 파머(hobby farmer)’ 수와 동반 증가하는 중소 형 트랙터 수요 증가에 대한 수혜를 받고 있다. 2021년 국내 트랙터시장 상위 3개 업체 합산 해외 매출액은 2조원에 달하며 전년대비 36% 성장했다.

 

농기계 업체(대동/TYM) 밸류에이션
농기계 업체(대동/TYM) 밸류에이션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